강동구의회 이동매 의원, ADHD에 對하여
존경하고 사랑하는 강동구민 여러분
조동탁 의장님과 김남현 부의장님을 비롯한 선배 동료 의원 여러분
이수희 구청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 여러분
지역 언론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설재정위원 이동매 의원입니다.
본 의원은 ADHD 아동,청소년 지원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주의력 과잉행동 장애, 즉 ADHD는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고, 주의력 부족, 산만,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 주위에서 ADHD 질환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건강보험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ADHD 유병률은 초등학생 13%, 청소년 7%이며, 이 중 10세 이전의 발병 비율이 97%입니다.
또한 ADHD 증상으로 치료 받은 환자가 5년간 5배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ADHD 아이들은 의도하지 않지만, 사회와 소속집단에서 비난 받게 되고 처벌에 쉽게 노출되며또래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학교와 같이 구조화된 단체생활 안에서 문제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때문에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고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 혹은 교육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ADHD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가지가 중요합니다.
약물치료, 부모교육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이 교육과 케어가 필요합니다.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다면 청소년기가 될 때쯤에는 절반 정도의 아이들이 치료가 가능하며, 관리를 병행할 경우 완치도 가능한 질환입니다.
따라서 본의원은 우리구에 두가지 요청을 드립니다.
첫째,
ADHD 조기 발견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강동구 ADHD 관리 매뉴얼이 필요합니다.
많은 일반인들은 ADHD에 증상과 정의에 대해 정확히 아는 경우가 드물고, 진단을 받았더라도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절반 정도라고 합니다.
이처럼 ADHD를 개인 성격상의 문제로 판단하여 치료를 받지 않아 우울증 등의 다른 정신 질환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때문에 우리구는 선제적으로 ADHD를 조기에 관리하여, 적은 비용을 투입하여 큰 사회경제적 손실을 막도록 노력해야합니다.
그러므로, 강동구는 ADHD 아동,청소년 관리 방안을 매뉴얼화하여 진단부터 관리까지 효율적으로 아이들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둘째,
앞서 설명 드린 것 처럼 부작용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ADHD 아이들은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과 동기 저하, 우울 및 불안이나 위축 등의 이차적 문제로 이어져 ADHD 아이들에게 좌절감이나 부정적인 자아상을 심어주게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때문에 교육 치료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아이들의 인성과 사회성 소통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강동구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강동구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과 인력들을 활용하여 부모 교육과 교육놀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아이들이 행복한 도시 강동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의원은 부모와 아이들에게 ADHD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야하고, 아이들에게 편견없이 치료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동구에 ADHD 지원에 대한 검토를 요청드리며,
이상 5분 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강동구의회 원창희 의원, 議會와 區廳의 關係에 대하여 (0) | 2023.11.16 |
---|---|
강동구의회 이원국 의원, GTX-D 經由에 對하여 (0) | 2023.11.16 |
강동구의회 문현섭 의원, 9號線 신강일역 延長事業에 對하여 (0) | 2023.11.16 |
강동구의회 박원서 의원, 강동구청의 存在 理由 (0) | 2023.11.16 |
강동구의회 제갑섭 의원, 2024년 豫算案 審査를 앞두고 (0) | 2023.11.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