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익의 문화로 보는 우리말 / 시치미
시치미는 자기가 하였어도 아닌 척하거나 알고도 모르는 체하는 태도를 말한다. 이 말은 사냥에 있어 길들인 매를 이용한데서 연유하였다. 지금도 중앙아시아를 비롯, 일부 몽골 지역에서 사냥에 매를 이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백제 때부터 매사냥을 하였다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매를 사냥에 이용하기 위해 응방(鷹坊)을 설치하여 매를 기르고 훈련 시켰다.
매를 이용하여 많은 사람이 사냥을 하다 보니 매가 서로 뒤바뀔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매를 가져가거나 매가 돌아오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의 발목이나 꽁지에 인식표를 붙였는데 이것이 시치미이다. 시치미에는 매의 이름, 나이, 주인 이름을 기록하여 그 매가 누구의 매인지 쉽게 알 수 있었다. 사냥을 하다가 간혹 매를 잡으면 시치미를 떼어 버리고 주인을 찾아 주지 않고 자신의 매로 소유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경우 ‘시치미 뗀다.’고 한다.
매는 고공(高空) 비행을 하며 먹이감을 발견하면 순식간에 순발력을 발휘하여 사냥을 한다. 매는 시력이 뛰어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의 눈이란 비유를 하며 쓰기도 한다. 매는 다양한 명칭이 있다. 성질이 온순하며 훈련이 잘된 매를 보라매(甫羅鷹), 산에서 오래 서식한 매를 산진(山陣)이, 집에서 오래 기른 매를 수진(手陳)이, 가장 뛰어난 흰 매를 송골매(松鶻)매, 푸른 매를 해동청(海東靑) 이라 불렀다.
매에서 유래된 몇 가지 말을 보면 먼저 ‘매의 눈빛처럼 날카롭다.’에서 온 ‘매섭다(매스럽다).’란 말이 나왔고, 매를 길들일 때 깃털을 보드랍게 쓰다듬는 모습을 표현한 ‘매만지다’, 매의 성질과는 다르게 매의 깃털은 정말 부드러운데 여기서 생겨난 ‘매끄럽다. 쌀쌀맞다.’는 표현의 ‘매몰차다.’, 몸이 단단하고 부실함이 없다는 표현의 ‘옹골지다[응(鷹)골지다].’ 등 우리말이 있다.
시치미는 평안도 사투리에서 연유되었고, 그 어원에 대해서 몇 가지 해석이 있다. ‘스치다’를 어원으로 보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시치미를 떼는 경우 그 행태야 얄미울 수 있지만, 말 자체는 잊혀져서는 안 될 우리의 아름다운 말이다.
도로교통공단 강남운전면허시험장 토요특별시험 실시 (0) | 2023.07.05 |
---|---|
거미1 /송태한 (0) | 2023.07.05 |
[기획] 강동구, 빈틈없는 災難安全 對應시스템 구축 完了 (0) | 2023.07.05 |
강동구 취약계층 兒童·장애인 家族 ‘같이’ 챙긴다. (0) | 2023.07.05 |
송파구, ‘6·25戰死者 유가족 찾기 支援’ 우수행정기관 選定 (0) | 2023.07.0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