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국회의원(강동갑),醫大 增員에 반발 학생 離脫 加速化
복학 신청 8.2% 그쳐, 전국 40개 의과대학생 중 총 113 명 자퇴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해 대부분의 의대생들이 지난 한 해 동안 휴학 상태를 유지한 가운데 더 좋은 의과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반수 후 자퇴를 한 의대생이 100 명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24 학년도 의과대학 자퇴생 현황 ’( 지난 2 월 10 일 기준 ) 에 따르면 전국 40 개 의과대학 중 총 113 명의 의대생이 기존 학교를 떠난 것으로 확인됐다 .
대다수의 의과대학 자퇴생들이 타 학교 진학을 이유로 자퇴 신청서를 낸 것이 확인된 가운데 , 가장 많은 자퇴생 규모를 보인 학교에서는 총 10 명의 의대생이 기존 학년을 이탈했고 , 그 다음으로 8 명 , 7 명 순을 보였다 .
의대생들의 25 학년도 1 학기 복학이 불투명한 가운데 25 학년도 40 개 의과대학에서 접수한 복학 신청자 규모는 총 1,495 명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
전체 의과대학 휴학생 18,343 명에 비춰봤을 때 1,495 명은 8.2% 규모에 그쳐 의대생들의 복귀 가능성은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
가장 많은 복학 신청 규모를 보인 학교는 592 명과 337 명 순이었고 , 반면 1 명도 복학 신청을 하지 않은 학교는 3 개 학교나 있었다 .
592 명 ·337 명의 의대생들이 복학 신청을 한 2 개 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의 경우 전체 휴학생 대비 3.1% 의 복학 신청 규모를 보였다 .
진선미 의원은 “ 사회적인 큰 파장을 일으키며 진행한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이 얻는 것 보다 잃는게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 며 “ 더 이상 대한민국 의료 교육의 위태로운 외줄타기 현상을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다 ” 고 강조했다 .
김영철 서울시의원(강동5),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0) | 2025.02.19 |
---|---|
김영철 서울시의원(강동5), 5분발언 통해 執行部의 市政質問 후속조치 미흡 指摘 및 적극적인 후속조치 이행 촉구 (0) | 2025.02.19 |
김혜지 서울시의원(강동1), 명일중 敎育家族의 感謝牌 받아 (0) | 2025.02.19 |
강동구의회, 디지털 力量 强化를 위한 코딩敎育 實施 (0) | 2025.02.19 |
양평호 강동구의회 의원, 천호3동 步行路 결빙 구간 迅速措置 완료 (0) | 2025.02.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