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시, ‘2014 서울 자영업자 업종지도’ 발간

사회

by 구민신문 2015. 1. 27. 16:50

본문

서울시, ‘2014 서울 자영업자 업종지도발간

 

일식집, 일반의원 등 5개 업종이 강남구, 한식음식점, 호프집 등 5개 업종이 강북구, 치킨집, 제과점 등 5개 업종이 노원구에 가장 밀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장 많은 자영업 점포가 모인 곳은 중구며, 외식·도소매업 등 생활 밀착형 자영업체들은 강남구에 밀집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서울시 소재 자영업 중 생활밀착형 업종 43개를 선정, 업종별·자치구별 밀집도, 사업체당 평균종사자 등을 분석한 ‘2014년도 서울 자영업자 업종지도를 발간했다고 27() 밝혔다.

서울시가 지난해 선정한 생활밀착형 업종은 한식음식점 중국집 치킨집 등 외식업(10)’, 입시보습학원 일반의원 부동산중개업 등 서비스업(22)’, 슈퍼마켓 편의접 약국 등 도소매업(11)’ 등 이다.전체 사업체수 78만여개 중 생활밀착형 업종 29.8만여개, 강남구에 26개 업종 밀집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내 전체 사업체 총 78887개 중 생활밀착형 업종은 43개 업종 298,010개며 이중 26개 업종이 강남구에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지난해에도 생활밀착형 업종 최다 밀집 지역이었으며 올해는 입시보습학원약국2개 업종이 추가됐다.자치구별 업종 밀집 : 일식집 강남구, 한식집 강북구, 치킨집 노원구 밀집또 업종별 입지계수(LQ)를 살펴보면 강남구일식집 일반의원 치과의원 피부관리실 네일숍이 강북구한식음식점 호프간이주점 여관업 노래방 슈퍼마켓, ‘노원구치킨집 제과점 예체능학원 보육시설 문구점이 타 지역에 비해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치구내 특정업종의 서울 전지역 동일 업종에 대한 상대적 밀집도와 특화도를 나타내는 업종별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 LQ)’를 통해 산출했다.지난해 결과와 비교해 보면 편의점(강남구 마포구) 당구장(광진구 서대문구) 자동차수리(동대문구 성동구) 제과점(동작구 노원구) 예체능 학원(양천구 노원구) 패스트푸드점(용산구 서대문구) 6개 업종의 밀집 자치구가 변경됐다.

사업체수 : 커피음료/편의점 5년 연속 증가, 슈퍼마켓/과일채소점 감소추세5년간 사업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43개 생활밀착형 업종 중 커피음료’, ‘편의점’, ‘피부관리실’, ‘보육시설14개 업종은 5년연속 업체수가 늘었고, ‘슈퍼마켓’, ‘과일채소점’, ‘문구점’, ‘PC’, ‘여관업’, ‘세탁소6개 업종은 5년 연속 감소추세였다.

특히 커피음료편의점업종은 서울시내 모든 자치구에서 5년 연속 업체수가 늘었으며, 5년 전인 2008년 보다 약 2배 가량 는 것을 확인됐다. 이에 반해 PC방은 2008년 대비 32.5%가 감소했다.

업종별 밀도 : 외식업-한식음식점, 서비스업-부동산중개업, 도소매업-의류점 고밀유동인구 수로 살펴본 업종별 사업체 밀도는 외식업한식 음식점 호프간이주점 커피음료 분식집 치킨집 순으로 높았고, ‘서비스업부동산중개업 입시보습학원 예체능학원 일반의원 노래방, ‘도소매업의류점 슈퍼마켓 편의점 휴대폰 약국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커피음료는 서대문구가 1개 사업체당 유동인구 225명으로 가장 밀집해 운영 중이었고, 동작구가 유동인구 1,729명으로 밀도가 가장 덜했다. ‘입시보습학원은 양천구가 유동인구 186명으로 가장 고밀하고, 중구가 13,523명으로 가장 저밀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과일채소는 동대문구 429, 강남구 11,666명이었다.평균종사자 수 : 외식업-양식집, 서비스업-노인요양시설, 도소매업-편의점 최대올해 추가조사된 사업체당 평균 종사자수는 외식업양식집(8.81) 패스트 푸드점(6.76) 일식집(5.20) 제과점(4.74) 중국집(4.41) 순이었고, ‘서비스업노인요양시설(18.35) 보육시설(7.51) 외국어학원(6.25) 일반의원(6.12) 헬스클럽(4.82), ‘도소매업편의점(4.10) 화장품(2.79) 휴대폰(2.59) 컴퓨터 판매수리(2.58) 약국(2.48) 순 이었다.

지역과 업종을 함께 살펴보면 양식집은 강서구가 17.24명으로 가장 많고, 동작구가 5.67명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육시설은 중구가 11.60, 노원구가 5.59명이었다. ‘편의점은 관악구 4.62명으로 최고, 중구 3.55명으로 최저였다.창업 3년 후 생존율 53.9%, 최고 보육시설/노인요양시설 - 최저 PC/당구장마지막으로 창업 후 연차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차년도 79.4%, 2차년도 63.3%, 3차년도 53.9%로 나타났다

.3차년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보육시설과 노인요양시설로 두 업종 모두 100%였으며, 편의점(84.7%), 자동차수리점(82.5%), 인테리어(78.4%), 일반의원(78.2%)도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반대로 PC(32.9%), 당구장(35.9%), 통신기기 판매점(40.3%), 분식집(42.5%), 부동산중개업(47.3%)은 생존율이 낮았다.

생활 밀착형 43개 업종 중 PC, 슈퍼마켓 등 14개업종 창업보다 폐업이 많아특히 43개 생활밀착형 업종 중 14개 업종은 창업보다 폐업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외식업10개 업종 모두 폐업보다 창업이 많았으나, 서비스업은 22개 중에서 9개 업종(외국어 학원, 예체능 학원, 부동산중개업, PC, 당구장, 골프연습장, 여관업, 세탁소, 자동차수리), 도소매업은 11개 업종 중 5개 업종(슈퍼마켓, 컴퓨터 판매수리, 과일채소, 약국, 문구점)이 폐업이 더 많았다.

이번에 발행된 ‘2014년 서울 자영업자 업종지도관련 자세한 문의는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www.seoulshinbo.co.kr) 또는 고객센터(1577-6119)로 하면 된다.

강진섭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이번에 제작한 서울 자영업자 업종지도가 서울시에서 창업하려는 예비창업자 뿐만 아니라 일반시민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영업자간 과다경쟁을 막고, ()진출·()퇴출 구조의 자영업 생태의 개선을 통하여 골목상권이 살아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